12월, 2023의 게시물 표시

옛 언약과 새 언약의 피 뿌림이 가지는 의미

1. 옛 언약의 피 뿌림(출 24:6~8) 이것은 역사적으로 B.C. 1400년경에 아라비아의 시내산에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과 맺으신 행위 율법 언약 때에 제단과 백성에게 뿌려진 번제와 화목제 희생짐승의 피입니다.  이때 이스라엘은 보편적 율법의 완전한 행위를 통해 구원 얻을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는 점에서 모든 인류를 대표합니다. 이 피는 시내산 언약의 두 당사자인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생명을 상징하는데, 양 당사자가 언약을 각자의 생명으로 보증한다는 의미로 뿌려진 것입니다.  즉 이스라엘 편에서는 언약의 모든 내용을 항상 지킬 것이며 지키지 못할 때는 죽음으로 그 값을 지불하겠다는 의미이고, 하나님 편에서는 언약을 지키는 모든 백성에게 약속된 복을 반드시 내려줄 것이며 그렇지 못할 때는 (죽으실 수 없는 하나님께서) 죽음으로 그 값을 지불하겠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이 옛 언약의 보편적 도덕법을 모두 지킨 사람은 하나도 없었으며 그래서 모든 사람이 하나님의 영원한 진노 아래 있게 되었고, 하나님께서는 모든 사람이 이 진노에서 합법적으로 구원을 얻게 하시기 위해 단번의 믿음으로 구원을 받을 수 있는 새 언약을 세우셨습니다. Shorts1   📺   2. 새 언약의 피 뿌림(마 26:27~28) 이것은 A.D. 33년경에 예수님께서 예루살렘 성문 밖 골고다 언덕에 세워진 십자가 형틀에서 흘리신 희생의 피입니다.  이 피는 모든 인류의 범죄를 대속하시는 피가 되어, 하늘에 있는 하나님의 제단에 뿌려져서(히 9:11~12; 12:24), 죄인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를 누그러뜨리고, 죄사함을 베풀어서, 사람과 화해를 이루게 하시는 피입니다. 그리고 이 피는 그 효력을 믿는 사람의 마음에 뿌려져서(히 10:22 벧전 1:2), 하나님의 영원한 속죄를 선언해 주며, 법적이고 실제적으로 죄로부터 해방하여 그리스도와 연합되는 거듭남을 이루어 주고, 성령의 영원한 내주를 가져다 줍니다. 그리고 두 언약에서 뿌려진 피의 공통점은 그 피...

성경 해석의 가장 큰 오류

이미지
이단에 빠지는 가장 확실한 길 그것은 성경의 단어를 모든 문맥에서 한 가지 의미로만 해석하는 것입니다. 즉 성경의 문맥을 무시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성경은 구원이라는 단어도 성도에 대해 시제별로  '구원을 얻었다'는 과거형과 '구원을 이루라'는 현재형과 '구원을 받으리라'는 미래형을 모두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구원의 종류에 있어서도 천국에 가는 죄사함을 받는 구원뿐만 아니라  몸의 질병에서 치유받는 구원과 귀신이 쫓겨나는 구원과 위험한 항해에서 살아남는 구원 등과 같이 여러 차원과 상황에서 모두 구원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Shorts   📺 성경 읽기는 기본적으로 국어실력이다. 이외에도 수 많은 단어가 문맥에 따라 이상의 예처럼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기 때문에  한 단어를 어떤 한 가지 의미로만 사용하는 것은 생각하기를 싫어하는 게으름이거나 어떤 나쁜 목적을 가지고 있거나 문해력이 부족한 것입니다. 그리고 사실 우리가 어떤 어학 사전을 봐도 알 수 있듯이 모든 언어의 모든 단어는 한가지 의미가 아닌 여러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성경도 거의 대부분 전문용어가 아닌 일상용어로 쓰여졌기 때문에  당연히 거의 모든 단어가 문맥에 따라 이렇게 다양한 의미를 가지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한 단어를 한 가지 의미로만 생각하도록 성경을 가르치는 교사를 조심해야 하고 또한 스스로도 그런 오류에 빠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YouTube   📺      Shorts   📺  

전능한 믿음의 지식

이미지
성경의 보배로운 약속들에 대해 문자적으로 잘 이해하고 있어도, 거기에 믿음이 더해질 때 마음 중심에까지 받아들인 명확한 지식이 되며(요 6:69; 17:3) 때로 이것을 깨달은 지식(마 13:23 골 1:6) 또는 성령께서 알게 하신 지식이라고도 합니다(고전 2:10~13). 그리고 그러한 믿음의 지식은 반드시 믿은 그 내용대로 성취되고, 그 내용에 합당하게 기꺼이 자원하는 실천으로 이어집니다(마 13:44~46).  그런 면에서 믿음의 지식은 전능한 하나님의 능력입니다. 그러므로 신앙을 의무적인 당위와 인위적인 노력에 속한 것으로 강조하는 것은, 아직 그 복된 약속을 믿지 못한 채 피상적으로만 알고 있는 것이며 율법 아래 있는 것입니다.  YouTube   📺      Shorts   📺

건강한 신앙이 가진 모순되는 두 극단

이미지
1. 순교적인 신앙 하나님께서 죽음의 권세를 가진 마귀의 활동을 허용하고 계시고(히 2:14), 죄의 몸이 믿음의 영역 밖에서는 여전히 지배력을 가지고 활동하는 현세에서(롬 6:6) 신앙은 근본적으로 순교적입니다. 2. 행복한 신앙 한편 신앙은 천상적인 충만한 기쁨과 평강의 길이며 영육간에 복된 길입니다(마 11:28~30; 19:29). 3. 결론 그러나 행복한 신앙의 길은 자동으로 가지지 않습니다. 주님과 같이 때마다 고민 속에서 하나님 앞에 현재의 연약함을 극복하기 위해, 복음에 대한 믿음으로 마음을 확정하는 씨름을 거친 후에야,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면서(마 16:24) 겉사람의 낡아짐 속에서도 영육간에 충만한 복을 누리며 그 길을 갈 수 있습니다. YouTube   📺      Shor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