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증언인 게시물 표시

옛 언약과 새 언약의 피 뿌림이 가지는 의미

1. 옛 언약의 피 뿌림(출 24:6~8) 이것은 역사적으로 B.C. 1400년경에 아라비아의 시내산에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과 맺으신 행위 율법 언약 때에 제단과 백성에게 뿌려진 번제와 화목제 희생짐승의 피입니다.  이때 이스라엘은 보편적 율법의 완전한 행위를 통해 구원 얻을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는 점에서 모든 인류를 대표합니다. 이 피는 시내산 언약의 두 당사자인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생명을 상징하는데, 양 당사자가 언약을 각자의 생명으로 보증한다는 의미로 뿌려진 것입니다.  즉 이스라엘 편에서는 언약의 모든 내용을 항상 지킬 것이며 지키지 못할 때는 죽음으로 그 값을 지불하겠다는 의미이고, 하나님 편에서는 언약을 지키는 모든 백성에게 약속된 복을 반드시 내려줄 것이며 그렇지 못할 때는 (죽으실 수 없는 하나님께서) 죽음으로 그 값을 지불하겠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이 옛 언약의 보편적 도덕법을 모두 지킨 사람은 하나도 없었으며 그래서 모든 사람이 하나님의 영원한 진노 아래 있게 되었고, 하나님께서는 모든 사람이 이 진노에서 합법적으로 구원을 얻게 하시기 위해 단번의 믿음으로 구원을 받을 수 있는 새 언약을 세우셨습니다. Shorts1   📺   2. 새 언약의 피 뿌림(마 26:27~28) 이것은 A.D. 33년경에 예수님께서 예루살렘 성문 밖 골고다 언덕에 세워진 십자가 형틀에서 흘리신 희생의 피입니다.  이 피는 모든 인류의 범죄를 대속하시는 피가 되어, 하늘에 있는 하나님의 제단에 뿌려져서(히 9:11~12; 12:24), 죄인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를 누그러뜨리고, 죄사함을 베풀어서, 사람과 화해를 이루게 하시는 피입니다. 그리고 이 피는 그 효력을 믿는 사람의 마음에 뿌려져서(히 10:22 벧전 1:2), 하나님의 영원한 속죄를 선언해 주며, 법적이고 실제적으로 죄로부터 해방하여 그리스도와 연합되는 거듭남을 이루어 주고, 성령의 영원한 내주를 가져다 줍니다. 그리고 두 언약에서 뿌려진 피의 공통점은 그 피...

말씀을 받아 전함

이미지
바울은 복음 을 전할 때 이미 복음 의 내용을 잘 알고 있음에도 말씀을 새로 받아서 증거할 수 있도록 에베소 성도들에게 기도를 부탁했습니다. (엡 6:19) 바울이 이 기도요청을 할 때는 이미 갈라디아서와 로마서와 같은 복음의 진수가 담긴 서신서를 쓴 이후였습니다. 또한 주님께서도 스스로 말씀하시지 않고 하나님께서 한량 없이 주시는 성령을 통해 때마다 하나님께 받은 말씀을 증거하셨습니다. (요 3:34 8:28 12:49,50 14:10,24 17:8) 즉 이미 아는 내용일지라도 그때마다 성령께 새로 받아서 성령의 능력으로 전하는 것이 성경적인 증거의 방법입니다. Shorts1   📺 그런데 이렇게 때에 맞는 말씀이나 말씀에 합하는 구체적인 인도하심을 성령을 통해 개인적으로 받는 신앙을 직통계시를 받는 것이라며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부인하는 광범위한 주장이 있습니다. 그래서 성령 없는 올바른 지식을 사전 계획대로 잘 진술하는 것을 좋은 설교요 전도라고 믿는 성령을 소멸하는 교리를 추종합니다. 이런 식의 설교와 전도는 현장에서 필요한 말씀을 성령께 받아 성령의 능력으로 전달하지 못하므로 생명과 능력이 없을 뿐만 아니라 목마른 사람에게 물 대신 빵을 주는 엉뚱한 조치로 인해 오히려 듣는 사람에게 해를 끼칩니다. YouTube   📺      Shorts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