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계시인 게시물 표시

옛 언약과 새 언약의 피 뿌림이 가지는 의미

1. 옛 언약의 피 뿌림(출 24:6~8) 이것은 역사적으로 B.C. 1400년경에 아라비아의 시내산에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과 맺으신 행위 율법 언약 때에 제단과 백성에게 뿌려진 번제와 화목제 희생짐승의 피입니다.  이때 이스라엘은 보편적 율법의 완전한 행위를 통해 구원 얻을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는 점에서 모든 인류를 대표합니다. 이 피는 시내산 언약의 두 당사자인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생명을 상징하는데, 양 당사자가 언약을 각자의 생명으로 보증한다는 의미로 뿌려진 것입니다.  즉 이스라엘 편에서는 언약의 모든 내용을 항상 지킬 것이며 지키지 못할 때는 죽음으로 그 값을 지불하겠다는 의미이고, 하나님 편에서는 언약을 지키는 모든 백성에게 약속된 복을 반드시 내려줄 것이며 그렇지 못할 때는 (죽으실 수 없는 하나님께서) 죽음으로 그 값을 지불하겠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이 옛 언약의 보편적 도덕법을 모두 지킨 사람은 하나도 없었으며 그래서 모든 사람이 하나님의 영원한 진노 아래 있게 되었고, 하나님께서는 모든 사람이 이 진노에서 합법적으로 구원을 얻게 하시기 위해 단번의 믿음으로 구원을 받을 수 있는 새 언약을 세우셨습니다. Shorts1   📺   2. 새 언약의 피 뿌림(마 26:27~28) 이것은 A.D. 33년경에 예수님께서 예루살렘 성문 밖 골고다 언덕에 세워진 십자가 형틀에서 흘리신 희생의 피입니다.  이 피는 모든 인류의 범죄를 대속하시는 피가 되어, 하늘에 있는 하나님의 제단에 뿌려져서(히 9:11~12; 12:24), 죄인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를 누그러뜨리고, 죄사함을 베풀어서, 사람과 화해를 이루게 하시는 피입니다. 그리고 이 피는 그 효력을 믿는 사람의 마음에 뿌려져서(히 10:22 벧전 1:2), 하나님의 영원한 속죄를 선언해 주며, 법적이고 실제적으로 죄로부터 해방하여 그리스도와 연합되는 거듭남을 이루어 주고, 성령의 영원한 내주를 가져다 줍니다. 그리고 두 언약에서 뿌려진 피의 공통점은 그 피...

계시와 분별

이미지
계시는 진리의 영역이고 비타협의 영역이며 분별은 개인적 선택의 영역이고 자유의 영역입니다. 바울은 이 둘을 구분했습니다. 복음 에 행위를 포함시키는 것은 싸워야 할 진리의 영역이며 음식과 날에 경중의 가치를 두는 것 등의 문제는 각자가 확정할 분별의 영역이었습니다. 그리고 분별의 영역에서 각자가 양심과 신앙으로 확정한 내용에 대해서 혼란을 갖지 말 것을 가르쳤습니다. 그것은 마치 하나님 앞에 서원한 것과 같은 효력이 있었습니다. 어떤 서원을 할지 정해진 것이 아니고 서원 자체도 강제의 규정이 아니지만 각자가 자원하여 세부적으로 다양한 내용의 서원을 합니다. 그리고 일단 하나님 앞에 서원한 것에 대해서는 번복하지 말고 지켜야 했습니다. 만일 지키지 않을 경우 신실하지 못한 행동이 되어 죄가 되었습니다. 이처럼 자유롭게 확정할 수 있는 개인적 분별의 영역에서도 일단 확정하였으면 그것을 타당한 이유 없이 번복하지 말 것을 말씀하셨습니다. "각각 자기 마음으로 확정하라(롬 14:5). 자기가 옳다 하는 바로 자신을 심판하지 않는 사람은 복이 있나니 의심하고 행동하는 사람은 정죄 받았다. 왜냐하면 그가 확정한 대로 믿음으로 행동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믿음으로 행동하지 않는 것은 다 죄이다(롬 14:22~23)." 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르침은 상황윤리 같지만 상황윤리가 아닌 것은 하나님 앞에 각자가 믿음과 양심으로 확정한 후에 그 원리를 따라 일관되게 행동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분명한 이유(새로운 깨달음 등) 없이 자신의 확정한 분별을 나누어진 마음으로 변경하는 것을 불신의 죄라고 하셨고 정죄의 대상이라고 하셨습니다. 이때의 정죄는 문맥을 볼 때 하나님의 정죄가 아니라 자신의 양심에 의해 자신에게 하는 정죄입니다. 이 정죄는 자신의 마음에 고통을 주고 생활에 고난을 주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징계를 부르는 정죄이고 또한 내세의 상급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정죄일 것입니다. 바울은 또한 계시로 받은 진리와 개인적 의견을 구별했습니다. "...

말씀을 받아 전함

이미지
바울은 복음 을 전할 때 이미 복음 의 내용을 잘 알고 있음에도 말씀을 새로 받아서 증거할 수 있도록 에베소 성도들에게 기도를 부탁했습니다. (엡 6:19) 바울이 이 기도요청을 할 때는 이미 갈라디아서와 로마서와 같은 복음의 진수가 담긴 서신서를 쓴 이후였습니다. 또한 주님께서도 스스로 말씀하시지 않고 하나님께서 한량 없이 주시는 성령을 통해 때마다 하나님께 받은 말씀을 증거하셨습니다. (요 3:34 8:28 12:49,50 14:10,24 17:8) 즉 이미 아는 내용일지라도 그때마다 성령께 새로 받아서 성령의 능력으로 전하는 것이 성경적인 증거의 방법입니다. Shorts1   📺 그런데 이렇게 때에 맞는 말씀이나 말씀에 합하는 구체적인 인도하심을 성령을 통해 개인적으로 받는 신앙을 직통계시를 받는 것이라며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부인하는 광범위한 주장이 있습니다. 그래서 성령 없는 올바른 지식을 사전 계획대로 잘 진술하는 것을 좋은 설교요 전도라고 믿는 성령을 소멸하는 교리를 추종합니다. 이런 식의 설교와 전도는 현장에서 필요한 말씀을 성령께 받아 성령의 능력으로 전달하지 못하므로 생명과 능력이 없을 뿐만 아니라 목마른 사람에게 물 대신 빵을 주는 엉뚱한 조치로 인해 오히려 듣는 사람에게 해를 끼칩니다. YouTube   📺      Shorts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