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예배인 게시물 표시

옛 언약과 새 언약의 피 뿌림이 가지는 의미

1. 옛 언약의 피 뿌림(출 24:6~8) 이것은 역사적으로 B.C. 1400년경에 아라비아의 시내산에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과 맺으신 행위 율법 언약 때에 제단과 백성에게 뿌려진 번제와 화목제 희생짐승의 피입니다.  이때 이스라엘은 보편적 율법의 완전한 행위를 통해 구원 얻을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는 점에서 모든 인류를 대표합니다. 이 피는 시내산 언약의 두 당사자인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생명을 상징하는데, 양 당사자가 언약을 각자의 생명으로 보증한다는 의미로 뿌려진 것입니다.  즉 이스라엘 편에서는 언약의 모든 내용을 항상 지킬 것이며 지키지 못할 때는 죽음으로 그 값을 지불하겠다는 의미이고, 하나님 편에서는 언약을 지키는 모든 백성에게 약속된 복을 반드시 내려줄 것이며 그렇지 못할 때는 (죽으실 수 없는 하나님께서) 죽음으로 그 값을 지불하겠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이 옛 언약의 보편적 도덕법을 모두 지킨 사람은 하나도 없었으며 그래서 모든 사람이 하나님의 영원한 진노 아래 있게 되었고, 하나님께서는 모든 사람이 이 진노에서 합법적으로 구원을 얻게 하시기 위해 단번의 믿음으로 구원을 받을 수 있는 새 언약을 세우셨습니다. Shorts1   📺   2. 새 언약의 피 뿌림(마 26:27~28) 이것은 A.D. 33년경에 예수님께서 예루살렘 성문 밖 골고다 언덕에 세워진 십자가 형틀에서 흘리신 희생의 피입니다.  이 피는 모든 인류의 범죄를 대속하시는 피가 되어, 하늘에 있는 하나님의 제단에 뿌려져서(히 9:11~12; 12:24), 죄인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를 누그러뜨리고, 죄사함을 베풀어서, 사람과 화해를 이루게 하시는 피입니다. 그리고 이 피는 그 효력을 믿는 사람의 마음에 뿌려져서(히 10:22 벧전 1:2), 하나님의 영원한 속죄를 선언해 주며, 법적이고 실제적으로 죄로부터 해방하여 그리스도와 연합되는 거듭남을 이루어 주고, 성령의 영원한 내주를 가져다 줍니다. 그리고 두 언약에서 뿌려진 피의 공통점은 그 피...

예배

이미지
성령과 진리의 충만함 가운데 우리에게 베푸신 은혜를 기억하고 나를 낮추며 감사와 찬양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 드리는 행위  신약을 예로 들 경우 예배란 믿음에 따르는 자연스러운 반응으로서 사람 편에서 하나님께 드리는 합당한 행위 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주로 동사 로 사용되고(προσκυνέω; 60회; 절하다 ; 요 4:24) 명사로 사용될 때는 행위를 더욱 강조하는 λατρεία( 섬김, 봉사 ; 5회; 롬 9:4;12:1)가 예배로 번역되었습니다. 그리고 λατρεία의 동사형인 λατρεύω( 섬기다 ; 롬 1:9)는 전체 21회가 사용되었습니다. 참고로 προσκυνέω(프로스쿠네오)는 히브리어 성경의 שָׁחָה(샤카; 절하다 ; 창 22:5; 24:26)를 헬라어 칠십인역에서 헬라어로 번역한 것입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칠십인역이 이집트의 헬라 왕조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명령에 의해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에서 헬라어로 번역되면서 이집트의 예배 형식 인 신을 향해 팔을 뻗어 입맞춤 을 드리는 것을 의미하는 προσκυνέω( ~향해 입맞추다 )가 대표적인  이스라엘의 예배 형식  중 하나인 신께 절 하는 것을 의미하는 שָׁחָה를 번역하는데 사용된 것으로 본다고 합니다 (1) . 그리고 당시에 권위 있게 통용되던 칠십인역의 이러한 용례가 신약성경에서도 그대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므로 προσκυνέω의 문자적 의미가 '~향해 입맞추다' 임에도 기본적으로 '절하다' 의 의미로 이해됩니다.  그리고 번역이 이렇게 문화적 영향을 받은 경우는 한글성경에서도 볼 수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는 만찬의 빵이 떡으로 번역된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1. 문자적 의미 명사 가 아닌 동사 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절하다(προσκυνέω; 60회; 요 4:24) - 예를 갖추어 절하다(예배). - 공경하는 마음으로 절하다(경배). - 회중예배, 특히 만찬예배에 더욱 적합한 용어  2) 섬기다(λατρεύ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