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언약과 새 언약의 피 뿌림이 가지는 의미

1. 옛 언약의 피 뿌림(출 24:6~8) 이것은 역사적으로 B.C. 1400년경에 아라비아의 시내산에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과 맺으신 행위 율법 언약 때에 제단과 백성에게 뿌려진 번제와 화목제 희생짐승의 피입니다.  이때 이스라엘은 보편적 율법의 완전한 행위를 통해 구원 얻을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는 점에서 모든 인류를 대표합니다. 이 피는 시내산 언약의 두 당사자인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생명을 상징하는데, 양 당사자가 언약을 각자의 생명으로 보증한다는 의미로 뿌려진 것입니다.  즉 이스라엘 편에서는 언약의 모든 내용을 항상 지킬 것이며 지키지 못할 때는 죽음으로 그 값을 지불하겠다는 의미이고, 하나님 편에서는 언약을 지키는 모든 백성에게 약속된 복을 반드시 내려줄 것이며 그렇지 못할 때는 (죽으실 수 없는 하나님께서) 죽음으로 그 값을 지불하겠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이 옛 언약의 보편적 도덕법을 모두 지킨 사람은 하나도 없었으며 그래서 모든 사람이 하나님의 영원한 진노 아래 있게 되었고, 하나님께서는 모든 사람이 이 진노에서 합법적으로 구원을 얻게 하시기 위해 단번의 믿음으로 구원을 받을 수 있는 새 언약을 세우셨습니다. Shorts1   📺   2. 새 언약의 피 뿌림(마 26:27~28) 이것은 A.D. 33년경에 예수님께서 예루살렘 성문 밖 골고다 언덕에 세워진 십자가 형틀에서 흘리신 희생의 피입니다.  이 피는 모든 인류의 범죄를 대속하시는 피가 되어, 하늘에 있는 하나님의 제단에 뿌려져서(히 9:11~12; 12:24), 죄인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를 누그러뜨리고, 죄사함을 베풀어서, 사람과 화해를 이루게 하시는 피입니다. 그리고 이 피는 그 효력을 믿는 사람의 마음에 뿌려져서(히 10:22 벧전 1:2), 하나님의 영원한 속죄를 선언해 주며, 법적이고 실제적으로 죄로부터 해방하여 그리스도와 연합되는 거듭남을 이루어 주고, 성령의 영원한 내주를 가져다 줍니다. 그리고 두 언약에서 뿌려진 피의 공통점은 그 피...

로마서 8장의 정죄와 관련한 세 가지 신앙상태


모든 성도가(심지어 모든 자연인이 이생을 사는 동안) 그러한 것처럼 로마서 8장의 성도는 영벌을 받는 하나님의 정죄를 받지는 않습니다. 그러므로 여기서 가정되거나 나타난 성도가 받는 실제적인 정죄는 '피조물과 율법'에 의한 합법적이거나 불법적인 정죄를 말합니다.

1. 정죄가 없는 건강한 신앙(1, 34절)

실제적이고 인격적으로 그리스도 예수 안에 거함으로 바로 앞의 7장에서 극단적으로 나타나는 피조물과 율법에 의한 어떤 합법적이거나 불법적인 정죄도 받지 않는 상태

Shorts1 📺

2. 정죄를 받아 사망의 고통 가운데 있는 신앙(6, 13절)

성도가 은혜와 믿음 안에서 성령을 따라 사는 삶이 아닌 율법 아래서 자기 힘으로 의를 행하고자 애쓰는 삶을 살므로 오히려 율법에 의해 죄를 지으려는 욕망이 살아나서 마음에 범죄함으로 율법의 정죄와 그로 인한 수치를 받아 내적인 사망의 고통 가운데 있는 상태

3. 구원을 잃을 수 없는 안전한 신앙(35~39절)

신앙이 건강하건 건강하지 않건 간에 모든 성도는 성령의 도우심에 의해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하나님의 사랑을 구원 얻는 수준 이상으로 믿는 믿음을 항상 가지고 있습니다.

Shorts2 📺

그 믿음이 37~38절의 사도 바울처럼 "...우리가 넉넉히 이기느니라", "내가 확신하노니..."라고 고백할 수 있을 만큼 건강할 때도 있고 6절과 13절처럼 믿음이 아주 사라진 것 같은 사망의 고통 가운데 있을 때도 있지만 공통점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베푸시는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성령의 내적 증언'과 그 증언에 '아멘'하는 믿음과 신앙 고백이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9, 16절).

그러므로 성도에게 중요한 것은 구원을 보존하기 위해 애쓰는 것이 아니라 확신 있는 강한 믿음을 가짐으로 실제적이고 인격적으로 그리스도 예수 안에 거하여 어떤 정죄도 없는 넉넉히 이기는 삶을 사는 것입니다.

YouTube 📺    Shorts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