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언약과 새 언약의 피 뿌림이 가지는 의미

1. 옛 언약의 피 뿌림(출 24:6~8) 이것은 역사적으로 B.C. 1400년경에 아라비아의 시내산에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과 맺으신 행위 율법 언약 때에 제단과 백성에게 뿌려진 번제와 화목제 희생짐승의 피입니다.  이때 이스라엘은 보편적 율법의 완전한 행위를 통해 구원 얻을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는 점에서 모든 인류를 대표합니다. 이 피는 시내산 언약의 두 당사자인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생명을 상징하는데, 양 당사자가 언약을 각자의 생명으로 보증한다는 의미로 뿌려진 것입니다.  즉 이스라엘 편에서는 언약의 모든 내용을 항상 지킬 것이며 지키지 못할 때는 죽음으로 그 값을 지불하겠다는 의미이고, 하나님 편에서는 언약을 지키는 모든 백성에게 약속된 복을 반드시 내려줄 것이며 그렇지 못할 때는 (죽으실 수 없는 하나님께서) 죽음으로 그 값을 지불하겠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이 옛 언약의 보편적 도덕법을 모두 지킨 사람은 하나도 없었으며 그래서 모든 사람이 하나님의 영원한 진노 아래 있게 되었고, 하나님께서는 모든 사람이 이 진노에서 합법적으로 구원을 얻게 하시기 위해 단번의 믿음으로 구원을 받을 수 있는 새 언약을 세우셨습니다. Shorts1   📺   2. 새 언약의 피 뿌림(마 26:27~28) 이것은 A.D. 33년경에 예수님께서 예루살렘 성문 밖 골고다 언덕에 세워진 십자가 형틀에서 흘리신 희생의 피입니다.  이 피는 모든 인류의 범죄를 대속하시는 피가 되어, 하늘에 있는 하나님의 제단에 뿌려져서(히 9:11~12; 12:24), 죄인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를 누그러뜨리고, 죄사함을 베풀어서, 사람과 화해를 이루게 하시는 피입니다. 그리고 이 피는 그 효력을 믿는 사람의 마음에 뿌려져서(히 10:22 벧전 1:2), 하나님의 영원한 속죄를 선언해 주며, 법적이고 실제적으로 죄로부터 해방하여 그리스도와 연합되는 거듭남을 이루어 주고, 성령의 영원한 내주를 가져다 줍니다. 그리고 두 언약에서 뿌려진 피의 공통점은 그 피...

나는 누구인가? (성서 인간론1)


삼위일체 신론이 어렵다고 하지만

더 어려운 것은 그리스도론으로서 어떻게 신성과 인성이 한 몸 안에 혼합되지 않고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위격(인격)으로서 통일되게 있느냐 입니다.

그리고 더 어려운 것은 인간론입니다. 어떠한 관계와 구조로 구원 받은 한 성도 안에 죄와 옛 사람 대 새 사람과 성령이 함께 있느냐 입니다. 이때 나의 마음과 양심은 이 네 가지와 관련하여 각각 어떻게 정의되느냐 입니다. 바울은 자기 서신의 여러 곳에서 한 인격 안에 있는 이러한 여러 내적 부분과 존재들의 특성과 역학 관계를 마치 눈으로 보는 것처럼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Shorts1 📺

인간론이 어렵다고 한 이유는 순수한 신성의 영역을 논하는 신론이나 그 절반이 신론의 성격을 가지는 그리스도론은 인간의 지성을 초월하는 영역의 주제이기 때문에 오히려 인격적으로 만난 하나님의 성품과 속성에 대한 개인적 신뢰를 바탕으로 계시해 주신 말씀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성격이 강한 반면 주로 우리 자신의 영혼몸과 지정의의 경험에 근거해서 말씀하시는 인간론 영역은 우리가 전인적 경험으로 공감하며 이해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신론과 그리스도론은 역사적으로 정통 교회 안에서 정리가 되었지만 인간론은 제가 볼 때 아직 깜깜한 상태 같습니다.

YouTube 📺    Shorts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