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023의 게시물 표시

옛 언약과 새 언약의 피 뿌림이 가지는 의미

1. 옛 언약의 피 뿌림(출 24:6~8) 이것은 역사적으로 B.C. 1400년경에 아라비아의 시내산에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과 맺으신 행위 율법 언약 때에 제단과 백성에게 뿌려진 번제와 화목제 희생짐승의 피입니다.  이때 이스라엘은 보편적 율법의 완전한 행위를 통해 구원 얻을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는 점에서 모든 인류를 대표합니다. 이 피는 시내산 언약의 두 당사자인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생명을 상징하는데, 양 당사자가 언약을 각자의 생명으로 보증한다는 의미로 뿌려진 것입니다.  즉 이스라엘 편에서는 언약의 모든 내용을 항상 지킬 것이며 지키지 못할 때는 죽음으로 그 값을 지불하겠다는 의미이고, 하나님 편에서는 언약을 지키는 모든 백성에게 약속된 복을 반드시 내려줄 것이며 그렇지 못할 때는 (죽으실 수 없는 하나님께서) 죽음으로 그 값을 지불하겠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이 옛 언약의 보편적 도덕법을 모두 지킨 사람은 하나도 없었으며 그래서 모든 사람이 하나님의 영원한 진노 아래 있게 되었고, 하나님께서는 모든 사람이 이 진노에서 합법적으로 구원을 얻게 하시기 위해 단번의 믿음으로 구원을 받을 수 있는 새 언약을 세우셨습니다. Shorts1   📺   2. 새 언약의 피 뿌림(마 26:27~28) 이것은 A.D. 33년경에 예수님께서 예루살렘 성문 밖 골고다 언덕에 세워진 십자가 형틀에서 흘리신 희생의 피입니다.  이 피는 모든 인류의 범죄를 대속하시는 피가 되어, 하늘에 있는 하나님의 제단에 뿌려져서(히 9:11~12; 12:24), 죄인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를 누그러뜨리고, 죄사함을 베풀어서, 사람과 화해를 이루게 하시는 피입니다. 그리고 이 피는 그 효력을 믿는 사람의 마음에 뿌려져서(히 10:22 벧전 1:2), 하나님의 영원한 속죄를 선언해 주며, 법적이고 실제적으로 죄로부터 해방하여 그리스도와 연합되는 거듭남을 이루어 주고, 성령의 영원한 내주를 가져다 줍니다. 그리고 두 언약에서 뿌려진 피의 공통점은 그 피...

믿음을 믿지 못함

이미지
  신앙생활 기간 중 몇 년 동안 믿음을 믿지 못한 적이 있었죠. 왜냐하면 주변에서 말하는 믿음이 능력이 없는 이론으로 보였기 때문이었습니다. 내가 경험한 믿음은 변화시키고 삶에 활력을 주는 믿음이었는데 어떻게 이 사람들의 믿음은 그런 능력이 없이  단지 영원한 속죄를 받았다는 이상한 안심만으로 (겉으로나마) 만족해 할 수 있는지 이상했죠. 분명히 믿음에 대한 말은 맞는 것 같은데  어떻게 능력이 없을 수 있지 하며 그런 믿음에 오염될까봐 두려워했습니다. 정말 오랫동안 두려워했습니다. Shorts1   📺 말은 맞는데 능력은 없는 이상한 믿음 그리고 내리게 된 결론이 그것은 성경의 믿음이 아니라 사람이 고안한 믿음이라는 것이었습니다.  성령의 역사와  인격적인 만남과 변화시키는 능력이 없는 이론으로만 맞는 믿음 아무런 능력이 없는데도  그것을 믿음이라고 믿게 만드는 그리고 심지어 죄를 지어도 회개하지 않게 하고 마음을 평안하게 하고 죄를 죄로 여기지 않게 하고  굳어진 마음으로 그 가운데 머물게 하는 믿음 참 놀라운 고안물이라고 생각했습니다. Shorts2   📺 그리고 고민거리였습니다. 말은 맞는데  성령의 역사가 없고 인격적인 만남의 경험이 없고 변화시키는 능력이 없는 믿음이 어떤 것인지 말로 표현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성령도 눈에 안보이고 인격적인 만남도 눈에 안보이고 변화시키는 능력도 눈에 안보이기 때문에 믿음에 대한 맞는 말을 하고 처신을 그럴듯하게 하면 그것과 성경의 믿음과의 차이를 설명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Shorts3   📺 그러나 지금은 그렇지 않습니다. 믿음은 행위와 분리되지 않기에  믿었으니 행하자가 아니라 믿으면 행한다는 것과 믿음만큼 행한다는 것과 믿음의 내용대로 이루어진다는 것과 믿음은 가장 먼저 마음을 행복하게 변화시키고  자발적으로 경건한 삶을 살게 하며 내 손이 닿지 않는 환경을 변화시키고 약속에 근...

로마서로 보는 성도와 율법

이미지
이제 성인인 성도는 초등교사인 율법 아래 있지 않으므로 그 다스림과 정죄를 받지 않습니다. 법적으로 그러하고 믿음의 분량을 따라 경험적으로 그러합니다(롬 6:14). 성도가 율법 아래서 율법의 음성을 듣고 있다면 그 사람은 성도 안에 있는 옛 사람입니다(롬 8:13~15). 그리고 그가 아무리 성도가 되었더라도 율법 아래서는 항상 죄인으로 드러나게 됩니다(롬 3:9). 그러나 순전한 믿음 안에 있는 성도에게 율법은 주인인 성도에게 정죄함 없는 아버지의 말씀을 전해주는 종의 역할을 하게 되고 성도는 그 아버지의 말씀을 받아 행함으로 믿기 전에는 항상 실패했던 율법을 이루는 천상적 수준의 삶을 살기 시작합니다(롬 3:31). Shorts1   📺 그러나 성도가 믿음 안에서 성령을 따라 자책이나 책망이 없는 완전한 삶을 살고 있을 때에조차 율법의 행위를 기준으로 비추어서 본다면 모든 죄의 근원인 원죄가 있는 연약한 육신 가운데 살고 있는 현세에서는 항상 죄인으로 드러날 수밖에 없습니다(롬 3:20; 4:14~16). 그러므로 성도가 율법의 행위로 의로와지려고 시도하는 순간 그가 현재 아무리 경건한 성도일지라도 율법이 요구하는 완전한 의에는 항상 미달된 죄인으로 발견됩니다. YouTube   📺      Shorts2   📺

회개의 즐거움과 애통

이미지
쥐엄 열매로도 배를 채우지 못하여 죽게 된 상황보다 아버지 집의 풍족한 것을 생각한 것이 더 즐겁습니다. (눅 15:16~17) 집으로 돌아가는 길이 더 즐겁습니다. 아버지를 뵙고 잘못을 아뢸 때 죄송함으로 애통합니다. (눅 15:20~21) 고통은 회개에 있는 것이 아니라 육신의 길에서 돌이키지 않음으로 받는 징계의 환난과 이미 용서해 놓으신 아버지의 사랑을 믿지 못함으로 받는 율법의 정죄에 있습니다. 회개는 나의 애씀도 아니고 율법의 정죄로 괴로워하는 것도 아니고 고행도 아니고 심지어 인위적인 자백도 아닙니다. 집 떠난 탕자와 같이 하나님의 사랑을 깨달으므로 그 은혜의 빛 안에서 자기 죄를 깨달아 가난한 마음을 가짐으로 그 하나님께로 ‘마음을 돌이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지혜는 성령께서 처음에 온유하게 죄에서 돌이킬 것을 권면하실 때 즉시 회개하는 것입니다. YouTube   📺      Shorts   📺

회개의 의미와 두 가지 용례

이미지
회개(μετάνοια)의 문자적 의미는 ‘어떤 계기를 통해 마음을 돌이킴, 마음의 변화’ 입니다. 여기서 강조점은 ‘마음’ 과 ‘변화’ 입니다. 한글성경의 ‘회개’에는 ‘뉘우쳐 삶을 고침’이라는 보다 적극적인 의미가 있습니다. 즉 마음의 변화 뒤에 맺히는 합당한 삶의 열매까지를 포함합니다. 참된 회개를 하면 마음이 근본적으로 변하므로 반드시 회개에 뒤따르는 합당한 열매를 맺게 된다는 점에서 옳은 말이기는 하지만 성경적 회개의 의미에서는 많이 벗어나 있습니다. 회개의 보다 정확한 의미는 집 떠난 탕자와 같이 하나님의 사랑을 깨달으므로 그 은혜의 빛 안에서 자기 죄를 깨달아 그 하나님께로 ‘마음을 돌이키는 것’ 입니다. Shorts1   📺 여기서 핵심은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깨달음' 과 '믿음' 입니다. 그 믿음 안에서 죄를 깨달아 내버리고 하나님께로 마음을 돌이킬 수 있기 때문에 회개는 죄사함 받는 믿음의 시작이요 전반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막 1:15a 행 20:21a). 그리고 죄사함 받는 믿음의 후반부는 ‘그리스도의 복음에 대한 믿음’ 입니다(막 1:15b 행 20:21b).  그런데 성경을 보면 그리스도의 복음에 대한 믿음까지를 회개로 보는 넓은 의미의 회개 가 있는 것 같습니다(눅 24:47 행 11:18). 즉 성경의 회개는 좁은 의미 와 넓은 의미 가 있다고 말할 수 있는데 좁은 의미 는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믿음' 안에서 죄를 깨달아 내버리고 그 하나님께로 마음을 돌이키는 것이고(막 1:15a 행 20:21a) 넓은 의미 의 회개는 '그리스도의 복음에 대한 믿음'까지를 포함하는 것입니다(눅 24:47 행 11:18). YouTube   📺      Shorts2   📺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선악과)

이미지
1.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창 2:9)가 가르쳐 주는 두 가지 1) 하나님이 정하신 영생의 길 ‘먹지 말라. 먹는 날에는 반드시 죽으리라!’(창 2:17) 하신 한 가지 말씀을 믿으면 영생을 계속 누리고, 그 말씀을 순종하지 않으면 영생을 잃고 반드시 죽게 됩니다(참고-요3:36). 즉 우리는 스스로 영생할 수 없고 하나님의 말씀을 믿음으로만 영생하는 존재들입니다. 2) 선악의 지식 하나님의 말씀을 믿은 것이 영생을 누리게 하는 선이고 믿지 않는 것이 영생을 잃게 하는 악이라는 선악의 진리를 가르쳐주는 나무입니다.  그래서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는 선악의 진리를 알게 하고 또 믿을 때 영생을 잃지 않게 하는 아담의 성경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는 하나님께서 사람을 위해 창조하셔서 동산 중앙에 두신 선하고 선한 나무인 것입니다. Shorts1   📺 2.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와 ‘예수님의 십자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1) 공통점 그 나무가 증거하는 한 가지 말씀을 믿을 때 영생을 누리거나 얻습니다. 2) 차이점 (1)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 - 에덴 동산 안에서 주신 것입니다. - ‘먹으면 반드시 죽으리라’는 이미 얻은 생명을 보존하는 말씀을 선포합니다. - 무죄한 상태에서 그 말씀을 믿을 때 에덴 동산에서의 영생을 계속 누리는 중에 그보다 더 뛰어난 천국에서의 영생을 얻을 기회를 가지게 됩니다. - 그 영생을 잃을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예수님의 십자가 - 에덴 동산 밖에서 주신 것입니다. - ‘먹으면 반드시 살리라’는 잃은 생명을 얻게 하는 말씀을 선포합니다(요 6:57). - 죄지은 사람이 그 말씀을 단번에 믿을 때 에덴보다 더 완전한 낙원인 천국에서의 영생을 얻게 해줍니다. - 그 얻은 영생을 영원히 잃어버리지 않습니다(요 10:28). YouTube   📺      Shorts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