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언약과 새 언약의 피 뿌림이 가지는 의미

1. 옛 언약의 피 뿌림(출 24:6~8) 이것은 역사적으로 B.C. 1400년경에 아라비아의 시내산에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과 맺으신 행위 율법 언약 때에 제단과 백성에게 뿌려진 번제와 화목제 희생짐승의 피입니다.  이때 이스라엘은 보편적 율법의 완전한 행위를 통해 구원 얻을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는 점에서 모든 인류를 대표합니다. 이 피는 시내산 언약의 두 당사자인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생명을 상징하는데, 양 당사자가 언약을 각자의 생명으로 보증한다는 의미로 뿌려진 것입니다.  즉 이스라엘 편에서는 언약의 모든 내용을 항상 지킬 것이며 지키지 못할 때는 죽음으로 그 값을 지불하겠다는 의미이고, 하나님 편에서는 언약을 지키는 모든 백성에게 약속된 복을 반드시 내려줄 것이며 그렇지 못할 때는 (죽으실 수 없는 하나님께서) 죽음으로 그 값을 지불하겠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이 옛 언약의 보편적 도덕법을 모두 지킨 사람은 하나도 없었으며 그래서 모든 사람이 하나님의 영원한 진노 아래 있게 되었고, 하나님께서는 모든 사람이 이 진노에서 합법적으로 구원을 얻게 하시기 위해 단번의 믿음으로 구원을 받을 수 있는 새 언약을 세우셨습니다. Shorts1   📺   2. 새 언약의 피 뿌림(마 26:27~28) 이것은 A.D. 33년경에 예수님께서 예루살렘 성문 밖 골고다 언덕에 세워진 십자가 형틀에서 흘리신 희생의 피입니다.  이 피는 모든 인류의 범죄를 대속하시는 피가 되어, 하늘에 있는 하나님의 제단에 뿌려져서(히 9:11~12; 12:24), 죄인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를 누그러뜨리고, 죄사함을 베풀어서, 사람과 화해를 이루게 하시는 피입니다. 그리고 이 피는 그 효력을 믿는 사람의 마음에 뿌려져서(히 10:22 벧전 1:2), 하나님의 영원한 속죄를 선언해 주며, 법적이고 실제적으로 죄로부터 해방하여 그리스도와 연합되는 거듭남을 이루어 주고, 성령의 영원한 내주를 가져다 줍니다. 그리고 두 언약에서 뿌려진 피의 공통점은 그 피...

회개의 의미와 두 가지 용례


회개(μετάνοια)의 문자적 의미는 ‘어떤 계기를 통해 마음을 돌이킴, 마음의 변화’입니다. 여기서 강조점은 ‘마음’‘변화’입니다. 한글성경의 ‘회개’에는 ‘뉘우쳐 삶을 고침’이라는 보다 적극적인 의미가 있습니다. 즉 마음의 변화 뒤에 맺히는 합당한 삶의 열매까지를 포함합니다.

참된 회개를 하면 마음이 근본적으로 변하므로 반드시 회개에 뒤따르는 합당한 열매를 맺게 된다는 점에서 옳은 말이기는 하지만 성경적 회개의 의미에서는 많이 벗어나 있습니다.

회개의 보다 정확한 의미는 집 떠난 탕자와 같이 하나님의 사랑을 깨달으므로 그 은혜의 빛 안에서 자기 죄를 깨달아 그 하나님께로 ‘마음을 돌이키는 것’입니다.

Shorts1 📺

여기서 핵심은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깨달음''믿음'입니다. 그 믿음 안에서 죄를 깨달아 내버리고 하나님께로 마음을 돌이킬 수 있기 때문에 회개는 죄사함 받는 믿음의 시작이요 전반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막 1:15a 행 20:21a). 그리고 죄사함 받는 믿음의 후반부는 ‘그리스도의 복음에 대한 믿음’입니다(막 1:15b 행 20:21b). 

그런데 성경을 보면 그리스도의 복음에 대한 믿음까지를 회개로 보는 넓은 의미의 회개가 있는 것 같습니다(눅 24:47 행 11:18).

즉 성경의 회개는 좁은 의미넓은 의미가 있다고 말할 수 있는데 좁은 의미는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믿음' 안에서 죄를 깨달아 내버리고 그 하나님께로 마음을 돌이키는 것이고(막 1:15a 행 20:21a) 넓은 의미의 회개는 '그리스도의 복음에 대한 믿음'까지를 포함하는 것입니다(눅 24:47 행 11:18).

YouTube 📺    Shorts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