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언약과 새 언약의 피 뿌림이 가지는 의미

1. 옛 언약의 피 뿌림(출 24:6~8) 이것은 역사적으로 B.C. 1400년경에 아라비아의 시내산에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과 맺으신 행위 율법 언약 때에 제단과 백성에게 뿌려진 번제와 화목제 희생짐승의 피입니다.  이때 이스라엘은 보편적 율법의 완전한 행위를 통해 구원 얻을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는 점에서 모든 인류를 대표합니다. 이 피는 시내산 언약의 두 당사자인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생명을 상징하는데, 양 당사자가 언약을 각자의 생명으로 보증한다는 의미로 뿌려진 것입니다.  즉 이스라엘 편에서는 언약의 모든 내용을 항상 지킬 것이며 지키지 못할 때는 죽음으로 그 값을 지불하겠다는 의미이고, 하나님 편에서는 언약을 지키는 모든 백성에게 약속된 복을 반드시 내려줄 것이며 그렇지 못할 때는 (죽으실 수 없는 하나님께서) 죽음으로 그 값을 지불하겠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이 옛 언약의 보편적 도덕법을 모두 지킨 사람은 하나도 없었으며 그래서 모든 사람이 하나님의 영원한 진노 아래 있게 되었고, 하나님께서는 모든 사람이 이 진노에서 합법적으로 구원을 얻게 하시기 위해 단번의 믿음으로 구원을 받을 수 있는 새 언약을 세우셨습니다. Shorts1   📺   2. 새 언약의 피 뿌림(마 26:27~28) 이것은 A.D. 33년경에 예수님께서 예루살렘 성문 밖 골고다 언덕에 세워진 십자가 형틀에서 흘리신 희생의 피입니다.  이 피는 모든 인류의 범죄를 대속하시는 피가 되어, 하늘에 있는 하나님의 제단에 뿌려져서(히 9:11~12; 12:24), 죄인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를 누그러뜨리고, 죄사함을 베풀어서, 사람과 화해를 이루게 하시는 피입니다. 그리고 이 피는 그 효력을 믿는 사람의 마음에 뿌려져서(히 10:22 벧전 1:2), 하나님의 영원한 속죄를 선언해 주며, 법적이고 실제적으로 죄로부터 해방하여 그리스도와 연합되는 거듭남을 이루어 주고, 성령의 영원한 내주를 가져다 줍니다. 그리고 두 언약에서 뿌려진 피의 공통점은 그 피...

죄에 대한 세 가지 표현

 

1. 죄 값

범죄한 사람이 대가로 지불해야 할 값으로서 두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1) 그 범죄의 값으로 받아야 할 형벌
2) 그 형벌을 면제받기 위해 지불하는 속전

구약에서 속전은 범죄함으로 손해를 끼친 것과 '같은 종류와 가치'의 재물이나 그 값에 해당하는 돈이었습니다. 물론 여기에는 직접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여러 가지 이차적인 피해에 대한 배상까지를 포함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재물이나 돈으로 값을 수 없는 큰 죄는 자신의 생명으로 갚아야 했습니다.

Shorts1 📺

성경은 모든 사람이 둘째 사망의 영원한 형벌을 받아야 하는 죄를 지었다고 말씀하십니다.
그리고 모든 사람을 그 영원한 형벌에서 건지실 수 있는 유일한 생명의 가치를 가지신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희생의 피를 흘려 자신의 생명을 단번에 하나님께 드리심으로 새 언약의 제사를 완성하시고 이제 그 사실을 믿는 모든 사람에게 단번에 얻는 '영원한 구원'의 근원이 되셨습니다.

Shorts2 📺

2. 범죄

사람이 실제로 지은 죄

3. 원죄

원죄도 보통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됩니다.
1) 아담이 지은 최초의 범죄
2) 그 최초의 죄를 짓게 한 사탄의 정신이자 세력과 원리, 그 최초의 범죄와 함께 아담 안에 들어왔고 그 후손에까지 유전되게 된 근원적인 죄, 모든 범죄의 한 원흉(다른 한 원흉은 우리 자신입니다)

로마서 7장에서는 두 번째 의미로 사용되며 이런 의미의 원죄는 로마서에서 보통 정관사와 함께 단수로 사용됩니다.

Shorts3 📺

4. 정리

전도자들이 강조하는 "예수님께서 세상 죄를 지고 가셨다, 이제 믿는 자에게는 죄가 없다, 성도는 법적으로 의인이다." 라는 표현들은 1번의 '죄 값'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그렇다고 하여 성도가 다시는 범죄하지 않는다거나 원죄가 없어졌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즉 가장 근원적인 죄인 원죄는 여전히 성도 안에 있으며 실제적인 죄인 범죄는 여전히 지을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엄밀한 의미에서는 항상 짓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원죄의 거처이자 범죄의 온상인 옛 사람, 즉 자연인의 본성이 여전히 성도 안에 있기 때문입니다.

Shorts4 📺

그러므로 죄가 없어졌다는 의미를 원죄의 존재나 범죄의 가능성이 없어졌다고 과대 해석하면 성경에 대한 이해와 신앙생활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성도는 단번에 믿어서 죄 값을 모두 갚았다는 점에서 법적-신분적으로 죄가 없어졌다는 의미이므로 성도는 그러한 면에서 '의인'이지만 원죄의 영향력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짓는 실제적인 범죄의 측면에서는 하나님께서 주신 거룩의 절대적 기준으로 볼 때 아무리 경건한 성도일지라도 여전히 항상(어쩌면 믿고 거듭나는 순간에조차) '죄인'이며 성경은 성도에 대해 이 두 가지를 모두 말씀하시고 있습니다.

Shorts5 📺

성도는 이제 영원한 형벌에서 면제 되었고 천국 시민이 되었고 천국의 문을 열고 들어왔으며 다시 나갈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죄와의 치열한 싸움이 있고 이 땅에서는 절대적으로 무죄한 완전한 거룩을 얻을 수는 없지만 성령의 지적이나 책망을 받지 않는 수준의 평강과 기쁨이 충만한 천상적 삶은 얼마든지 살 수 있다고 말씀하십니다.

그리고 성경은 그러한 삶을 살 수 있는 믿음의 원리를 가르치십니다. 그렇게 복음 안에서 참된 겸손과 충만한 행복과 경건과 권능 가운데 사는 삶이 천국에서까지 이어지는 신앙의 본질이며 또한 이 땅에서의 하나님 나라의 삶입니다.

YouTube 📺    Shorts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