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언약과 새 언약의 피 뿌림이 가지는 의미

1. 옛 언약의 피 뿌림(출 24:6~8) 이것은 역사적으로 B.C. 1400년경에 아라비아의 시내산에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과 맺으신 행위 율법 언약 때에 제단과 백성에게 뿌려진 번제와 화목제 희생짐승의 피입니다.  이때 이스라엘은 보편적 율법의 완전한 행위를 통해 구원 얻을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는 점에서 모든 인류를 대표합니다. 이 피는 시내산 언약의 두 당사자인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생명을 상징하는데, 양 당사자가 언약을 각자의 생명으로 보증한다는 의미로 뿌려진 것입니다.  즉 이스라엘 편에서는 언약의 모든 내용을 항상 지킬 것이며 지키지 못할 때는 죽음으로 그 값을 지불하겠다는 의미이고, 하나님 편에서는 언약을 지키는 모든 백성에게 약속된 복을 반드시 내려줄 것이며 그렇지 못할 때는 (죽으실 수 없는 하나님께서) 죽음으로 그 값을 지불하겠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이 옛 언약의 보편적 도덕법을 모두 지킨 사람은 하나도 없었으며 그래서 모든 사람이 하나님의 영원한 진노 아래 있게 되었고, 하나님께서는 모든 사람이 이 진노에서 합법적으로 구원을 얻게 하시기 위해 단번의 믿음으로 구원을 받을 수 있는 새 언약을 세우셨습니다. Shorts1   📺   2. 새 언약의 피 뿌림(마 26:27~28) 이것은 A.D. 33년경에 예수님께서 예루살렘 성문 밖 골고다 언덕에 세워진 십자가 형틀에서 흘리신 희생의 피입니다.  이 피는 모든 인류의 범죄를 대속하시는 피가 되어, 하늘에 있는 하나님의 제단에 뿌려져서(히 9:11~12; 12:24), 죄인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를 누그러뜨리고, 죄사함을 베풀어서, 사람과 화해를 이루게 하시는 피입니다. 그리고 이 피는 그 효력을 믿는 사람의 마음에 뿌려져서(히 10:22 벧전 1:2), 하나님의 영원한 속죄를 선언해 주며, 법적이고 실제적으로 죄로부터 해방하여 그리스도와 연합되는 거듭남을 이루어 주고, 성령의 영원한 내주를 가져다 줍니다. 그리고 두 언약에서 뿌려진 피의 공통점은 그 피...

구원 얻는 믿음의 본질


일반적으로 처음 주님을 구주로 영접할 때는 복음에 대한 나누어지지 않은 전심의 믿음을 가지게 되고 해방과 만족의 기쁨이 충만하고 전심으로 주님을 따르고자 하는 열정으로 즐거이 헌신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거듭남의 체험 이후 얼마간의 시간이 지나면 죄에 대한 패배와 영적 침체를 경험하며 다시 옛날의 상태로 돌아간 것 같은 자신의 모습을 보게 됩니다.

침체된 그의 믿음에는 구원을 의심하는 마음과 불안이 함께 합니다. 즉 처음 구원 얻을 때의 믿음보다 많이 작아졌고 약해졌습니다. 그렇다면 지금은 처음 구원 얻은 믿음에서 멀어졌기 때문에 믿음이 있을지라도 구원은 잃어버린 것이 아닐까요?

그러나 신약성경의 많은 예를 보면 그럴지라도 구원을 잃어버린 것이 아닙니다(눅 22:31~32 롬 14:22~23 고전 5:5 벧후 1:5~11 요일 3:18~20). 그는 여전히 구원 받은 사람이며 그 안에는 구원 얻는 믿음이 보존되고 있습니다.

Shorts1 📺

이를 통해 구원 얻는 믿음은 본질적으로 감정의 분량과 또는 깨달음의 분량과 또는 확신의 분량과 또는 마음의 집중의 분량과 관련이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처음 구원 받을 때의 뜨거운 믿음과 구원 얻는 믿음과는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 구원 얻는 믿음의 본질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성령의 내적 증언’(롬 8:9, 16 요일 5:10)과 ‘그리스도와의 인격적 관계’(마 7:23 요 10:27 고후 13:5)가 있는 하나님께서 주도하심으로 유지되는 믿음입니다. 그 믿음이 약해져서 감정이 식고 깨달음이 둔해지고 마음이 나누어져도 그 믿음이 아주 사라지지는 않습니다(눅 22:31~32). 내쪽에서 간혹 사라진 것처럼 착각해도 그것은 착각일 뿐 여전히 성령의 내적 증언과 그리스도와의 인격적 관계의 끈은 경험적으로도 유지되고 있습니다.

Shorts2 📺

그러므로 여기서 구원 얻는 믿음의 두 가지 본질을 '성령의 내주로 인한 내적 증언'과 '그리스도와의 인격적인 관계'라고 한다면 처음 믿을 때 뜨거운 감정과 큰 확신과 전적 헌신의 삶이 없는 경우일지라도 그래서 미지근해 보이고 삶의 극적인 변화가 없어 보일지라도 이 두 가지를 확인함으로 그가 구원 받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두 가지 증거(evidence)는 주관적이고 내적인 증거이기에 믿은 당사자가 가장 잘 알지만 또한 이 두 가지는 성령께서 주시는 증거이기에 동일한 증거를 가진 다른 성도들과의 교제를 통해서도 성령의 교통하심에 의해 화답이 됨으로 드러나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두 가지 내적 증거를 가진 사람은 또한 그 믿음에서 나오는 주님을 향한 '인격적인 신앙고백' 역시 사라지지 않으며 그 믿음을 따라 살아가는 분량만큼 자연스럽게 '삶의 변화'가 점점 더 드러나게 됩니다. 

Shorts3 📺

그리고 이러한 '인격적인 신앙고백'과 '삶의 변화'를 구원 얻는 믿음에 대한 두 가지 관찰 가능한 객관적인 증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때 신앙고백이 즉각적으로 드러나는 증거라면 삶의 변화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점점 뚜렷하게 드러나는 증거이므로 삶의 변화를 증거로 삼고자 할 때는 속단하지 말고 충분한 시간을 두고 신중하게 분별해야 할 것입니다.

이상에서 구원 얻는 믿음을 분별하는 본질적 증거로서 두 가지 주관적인 증거를 제시했고 또한 그에 못지않게 중요한 두 가지 객관적인 증거를 제시했습니다. 그리고 두 종류의 증거 중에 객관적인 증거가 주관적인 증거에 비해 흉내내기가 쉽기 때문에 더욱 신중하게 분별해야 할 것입니다.

YouTube 📺    Shorts4 📺